바이오소재 소개
대표이사 인사말
특허 / 논문 등
연구과제수행
인증/시험현황
국,내외 심포지움,강연
성분표/MSDS등
콘소시움/협회연계
찾아오시는 길
역사 및 배경
바이오소재 특징
원료의 종류
산업화 제품소개
국내외 시장동향
규격 및 시험방법
향후 전망
친환경 원료소개
원료소개
바이오베이스플라스틱
생분해플라스틱
산화생분해플라스틱
실험결과
바이오비닐제품
바이오랩
바이오시트/진공성형
친환경 생활용품(사출 등)
농원예용 제품
기능성제품
신선도/항균제품
바이오콘
바이오폼
TGR페이퍼
시장/기술
/정책동향
논문/전문자료
방송/기사
포토갤러리
친환경 종이컵
공지사항
자유게시판
제품상담 및 문의
HOME
자료실
친환경 산업동향
시장/기술/정책동향
논문/전문자료
방송/기사
포토갤러리
친환경 종이컵
시장/기술/정책동향
작성자
제목
굵게
폰트색상
[컬러선택]
<br/><br/><br/><br/><br/>------- 원본 내용 ---------<br/><br/><br/>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"><STRONG>펠릿보일러, 中企 적합업종 지정될까? </STRONG></SPAN>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동반성장委, 전문기관 적합성 용역·합동회의 등 진행 용역 결과, “펠릿 전분야 中企 고유영역 고려할 만”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[투데이에너지 강은철 기자]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목재펠릿보일러 보급사업은 산림청이 주관하는 사업으로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 일환으로 2008년부터 보급이 이뤄지고 있다. 당시에 20여개의 중소기업이 시작했으며 본격적인 보급은 2009년 시작됐다. 대기업이 펠릿보일러사업에 참여한 것도 이 무렵이다. 인증사업이 시작되기 전인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연평균 30개사 정도 펠릿보일러사업에 참여했다.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보급초기 품질이나 A/S 등이 문제가 불거지면서 산림청에서 2012년 품질인증제도를 도입하면서 사업에 참여했던 기업도 경동나비엔, 귀뚜라미, 규원테크, 넥스트에너지코리아, 일도바이오 등 5개사로 재편됐다.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품질인증제도 도입과 함께 다소 사업참여가 늦은 대기업이 막강한 영업력과 자금력, 브랜드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장악하면서 중소기업들이 사업을 접는 계기도 됐다.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관련업계의 관계자는 “펠릿보일러는 현재 산림청에서 인증제도를 통해 인증을 받은 보일러만 납품토록 하고 있다”라며 “인증을 받은 보일러는 기술력과 성능이 비슷해 소비자가 사용하는데 품질이나 성능에 큰 불편이 없지만 대기업 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심리로 인해 중소기업이 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”고 밝혔다.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2014년 05월 02일 (금) 10:18:22 [ 강은철 기자 eckang@tenews.kr ]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출처 : 투데이 에너지 <A href="http://www.todayenergy.kr">www.todayenergy.kr</A>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원문바로가기 : http://www.todayenergy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92129 </SPAN><br>
글꼴
크기
입력창 크기 조절
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"><STRONG>펠릿보일러, 中企 적합업종 지정될까? </STRONG></SPAN>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동반성장委, 전문기관 적합성 용역·합동회의 등 진행 용역 결과, “펠릿 전분야 中企 고유영역 고려할 만”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[투데이에너지 강은철 기자]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목재펠릿보일러 보급사업은 산림청이 주관하는 사업으로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 일환으로 2008년부터 보급이 이뤄지고 있다. 당시에 20여개의 중소기업이 시작했으며 본격적인 보급은 2009년 시작됐다. 대기업이 펠릿보일러사업에 참여한 것도 이 무렵이다. 인증사업이 시작되기 전인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연평균 30개사 정도 펠릿보일러사업에 참여했다.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보급초기 품질이나 A/S 등이 문제가 불거지면서 산림청에서 2012년 품질인증제도를 도입하면서 사업에 참여했던 기업도 경동나비엔, 귀뚜라미, 규원테크, 넥스트에너지코리아, 일도바이오 등 5개사로 재편됐다.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품질인증제도 도입과 함께 다소 사업참여가 늦은 대기업이 막강한 영업력과 자금력, 브랜드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장악하면서 중소기업들이 사업을 접는 계기도 됐다.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관련업계의 관계자는 “펠릿보일러는 현재 산림청에서 인증제도를 통해 인증을 받은 보일러만 납품토록 하고 있다”라며 “인증을 받은 보일러는 기술력과 성능이 비슷해 소비자가 사용하는데 품질이나 성능에 큰 불편이 없지만 대기업 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심리로 인해 중소기업이 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”고 밝혔다.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</SPAN> 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2014년 05월 02일 (금) 10:18:22 [ 강은철 기자 eckang@tenews.kr ]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출처 : 투데이 에너지 <A href="http://www.todayenergy.kr">www.todayenergy.kr</A> </SPAN><br> <SPAN style="FONT-SIZE: 10pt; FONT-FAMILY: sans-serif">원문바로가기 : http://www.todayenergy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92129 </SPAN><br>
작성일
첨부파일
스팸방지
[새로고침]
※ 스팸 등록 방지를 위해 계산식의 답을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.